![]() |
나전칠기 이걸 천직이라고 생각합니다. 자개는 늘 가까이 두고 손으로 만지며 돌볼수록 아름다워집니다. 하나를 만들어도 손으로 제대로 만들어야 작품성이 생겨나지요. 작품을 완성하는 게 목적이지 시간에 쫓겨 하면 옳은 작품이 나오겠습니까. 전통은 반드시 이어가되 저만의 색깔이 있는 그런 작품을 만들고 싶습니다. 일본하고 우리는 참 가까운 나라입니다. 일본은 칠이 유명하고, 한국은 나전이 유명한데, 양국 간 교류가 있음으로서 공예 발전에 많은 도움이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. 이런 계기가 우리 문화를 널리 알릴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. |
2008 경남 최고 명장 선정 2010 에쎄 골드리브 담배 디자인 개발 2012-2024 통영 나전칠기 전시회 참가 2020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자체 기획전 참가 2023 국가무형유산 나전장 보유자 인정 |
![]() |
부채를 펴면 아름답습니다. 선이 이렇게 살아있어요. 대나무를 얇게 깎은 후 합쳐서 만든 부채, 그래서 합죽선입니다.부채의 생명은 모양이 모든 걸 좌우하거든요. 칼을 어떻게 하냐에 따라 부채 모양이 달라져요. 살을 잘못 깎아 놓으면 부채가 잘못 만들어져요. 부채는 나의 생명이라고 생각해요. 어려서부터 지금까지 해온 것이 부채예요. 저는 부채를 잊지 못합니다. 앞으로도 그렇게 할 것이고. 이런 부채를 일본에 가서 알린다는 것이 가슴이 굉장히 떨리고 기대가 됩니다. |
2007 전북특별자치도 무형유산 선자장 보유자 인정 2015 국가무형유산 선자장 보유자 인정 2024 시간을 잇는 손길(덕수궁), K헤리티지 아트전 이움의 결 (창덕궁) 전시 2024 넥슨재단 보더리스 크래프트판 시간의 마법사: 다른 세계를 향하여(덕수궁) 전시 2024 제23회 전주전통공예품전(가나자와 21세기미술관) 전시 2025 국가무형유산 명인명품전(창원) |
![]() 이시현 —무용 |
· 도쿄 Session House / 아키타 Art Box Oroshimachi 초청공연 <창귀다> 출연 · 서울 국제댄스페스티벌 인탱크 <도깨비네이션> 안무 · 아시아 –이베로아메리카 문화재단과 로스안데스 문화원 주최 In Colombia(Bogota & Medejin) 3개국 협업 프로젝트 · 폴란드 바르샤바 자비로바냐 축제, 슬로베니아 류블랴냐 UKREP, 마리보어 LENT 축제 초청 작품 <씨(Seed)> 안무 및 출연 |
![]() |
· 한국예술종합학교 창작과 전문사 졸업 · 프랑스오리악축제 한국초청 리퀴드사운드 <긴 : 연희해체프로젝트 I> 출연 · 슬로베니아 류블랴냐 UKREP 축제 / 마리보어 LENT 축제 초청 작품 <씨(Seed)> 출연 · 국립현대무용단 <쌍쌍>, <심포니inC> 출연 |
![]() |
· 한국예술종합학교 창작과 예술사 졸업. 전문사 재학 · <도이고–되고> 안무 · <수신 없는 온도> 안무 · <나의 한뼘과 당신의 한뼘은 다르다> 안무 · 리퀴드사운드 <긴 : 연희해체프로젝트 I>, 출연 |
![]() 김소희 —무용 |
· 한국예술종합학교 창작과 예술사 졸업 · project I-us <틈>, <적>, <몽키비지니스> 출연 · 리퀴드사운드 <긴 : 연희해체프로젝트 I> 출연 |
![]() 김혜윤 —무용 |
· 이화여자대학교 무용과 한국무용 전공 졸업 · 한국예술종합학교 창작과 전문사 재학 · 콜렉티브 매듭 <몸 풀기_비수기전지훈련> 공동기획 및 출연 · 제31회 신인데뷔전 <졸업전환> 안무 및 출연 · Leekdance company 신작 <올더월즈> 출연 |
![]() 박세호 —연희 |
· 국가무형유산 남사당놀이, 이리농악 전수자 · 중앙대학교 타악연희과 졸업 · (사)한국국악협회 파주지부 부지부장 · IPN company 대표 · 제19회 KBS국악대경연 사물부문 장원 |
![]() 이명모 —연희 |
· 국가무형유산 남사당놀이, 이리농악 전수자 · 한양대학교 국악과 박사수료 · 전통타악그룹 IN풍류 총괄PD · 계양구립풍물단 훈련장 |
![]() 송창현 —연희 |
· 경기도무형유산 경기시나위춤 전수자 ·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연희과 졸업 · 틱톡, 인스타그램 20만 팔로워 국내 유일 상모 크리에이터 · 두바이 엑스포 한국, 태국관 단독 공연 · 제9회 태안전국국악경연대회 판소리 일반부 대상 |
![]() 박민표 —연희 |
· 국가무형유산 동해안별신굿 전수자 · 한양대학교 국악과 석사과정 수료 · 연수구립전통예술단 단원 · 제6회 청춘열전 출사표 대상 |
![]() 한지수 —생황 |
· 국가무형유산 피리정악 및 대취타 전수자 ·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석사과정 수료 ·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예술사 졸업 · 생황방앗간 디렉터 · JTBC ID, 문화유산방문캠페인 등 음악작곡 · 오사카한국문화원 이전 재개원식 공연 출연 |
![]() 강태훈 —거문고 |
·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석사 재학 · 국립극장 레퍼토리 시즌 <맥베스> 참여 · ARKO 청년예술가도약지원 <음악은 언어가 아니다> 기획 및 연주 · 2023 21C한국음악프로젝트 대상 |
![]() 이인보 —연출 |
· 촉각 콘서트 <다섯 가지 기억> 연출 · 무용극 <보이지 않는 경계> 연출 · 국립국악원 무용단 정기공연 <신 궁중나례> 연출 · <긴 : 연희해체프로젝트 I>, 연출 · 창작산실 올해의 신작 음악극 <시선 si, Sonne!> 연출 · ACC 국제 뮤직 페스티벌 <굿과 흘림> 연출 |
![]() 심주영 —안무 |
· 무용 <춘앵이와 처용이>, <바디 뮤직> 등 안무 · 연희 <긴 : 연희해체프로젝트 I>, 안무 · 연극 <시라노>, <베로나의 두신사> 등 안무 · 서커스 <하루>, <사다리 위에서> 등 안무 · 그외 <시선>, <녹색지능>, <드라곤킹> 등 안무 |
![]() 주준영 —작곡 |
· 영화 <서양골동양과자점 앤티크> 작곡 · 안시 국제애니메이션 페스티벌 <보리야> 음악감독 · 리퀴드사운드 <긴 : 연희해체프로젝트 I>, 음악감독 · 2023 국립극장 음악극 <시선 si, Sonne!> 음악 및 예술감독 |
![]() 이휘순 —무대디자인 |
· 복합예술팀 ‘리퀴드 사운드’ 공연 미술 디자인 · ACC국제 뮤직 페스티벌 <굿과 흘림> 디자인 · 국립국악원 <지금 우리는> 디자인 · <실험하는 인간> 초임계유체 디자인 · 태국 방콕 Intact_critical point 설치 디자인 |
![]() 라지웅 —영상 |
· 2017-2025 국립무형유산원 개막공연 · 송년공연 ·기획공연 · 상설공연 등 · 아르헨티나 살타, 부에노스아이레스 국립무형유산원「K–무형유산 페스티벌」 <놀다가세나> · 전북도립국악원, 전남도립국악단 기획공연 <우리어매>, <푸른고래 가무악회> · 여우락 페스티벌, PAKK X EERU (JAMBINAI) <고요한 씻김> · 멕시코 50 Festival Internacional Cervantino 국립무형유산원 「K–무형유산 페스티벌」 |
![]() 최원 —의상디자인 |
· 국립극단 <그의 어머니> <만선> <고독한 목욕> <1945> 외 · 서울시극단 <정의의 사람들> 외 · 국립무용단 <더 룸> 외 · 국립창극단 <오르페오전> <몽유도원도> 외 · 국립오페라단 <나비부인> 외 · 서울시오페라단 <돈지오바니> <마술피리> <코지 판 투테> 외 |
[total : 1301] ( 1 / 44 ) |
[1][2][3][4][5][6][7][8][9][10][11][12][13][14][15][Next 15] |
![]() ![]() ![]() |